1부에서는 왜 갖은 고생을 다 해가면서 비싼 돈 들여가며 많은 대한민국의 젊은이들이 호주로 오게 되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시한번 간단히 정리하자면, 영어를 배우기 위해, 돈 벌기 위해, 한국이 싫어 도피를 위해, 그리고 마지막으로 보다 나은 교육을 위해 호주땅을 밟게 된다라고 이야기 할수 있다.
2-1부에서는 처음으로 호주땅을 밟고 난뒤에 피부로 느끼게 되는 현실에 대해서 간략 하게 다루어 봤다. 영어를 배우기 위해 왔는데 과연 호주라고 해서 한국이랑 다를게 뭐가 있나 ... 라는 현실를 초래하는 케이스를 예시로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호주 워킹 홀리데이 약인가 독인가? 2-1부 - 실감하게 되는 현실
2-2부에서는 워킹 홀리데이에서 '워킹' 부분을 자세하게 다뤄 보았다. 상당히 비판적이고 부정적인 내용을 예시로 들게 되기 때문에 되어서 나름 않타까운 부분도 있었다. 글의 내용을 한마디로 내용을 줄이자면 '과연 피고용인으로서 최소한의 권리는 보장 받으면서' 였다.
호주 워킹 홀리데이 약인가 독인가? 2-2부 - 실감하게 되는 현실
2-3부에서는 워킹 홀리데이에서 한국이 싫어 도피의 목적으로 워킹 홀리데이 비자를 받고 호주에 입국한 워홀러들의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한가지 골자를 살짝 이야기 하자면, 도피란 인생의 방기일 뿐이다. 또한 한국 사람들이 사는 곳은 세계 어느곳이든 다 똑같다. 따라서 마음을 어떻게 가지느냐에 따라 호주가 천국이 될수도 있고 지옥이 될수도 있다.
호주 워킹 홀리데이 약인가 독인가? 2-3부 - 실감하게 되는 현실
2-4부에서는 워킹 홀리데이로 오는 사람들의 가장 큰 목적인 영어를 공부하겠다! 를 다뤄 보도록 하겠다. 한국에서 영어 학원 백날 다녀봤자 느는건 없고 영어 학원좀 다녔다고 해서 미국 드라마를 자막없이 이해할수 있는것도 아니고, 아 그럼 외국에 나가서 영어 공부를 하면 듣는것도 말하는것도 읽는것도 쓰는것도 영어밖에 없으니까 더 늘지 않을까라는 오산에 대해서 다루어 봤다.
호주 워킹 홀리데이 약인가 독인가? 2-4부 - 실감하게 되는 현실
3부에서는 워킹 홀리데이에서 보통 3달 에서 5달차에 느끼게 되는 기분에 대해서 다루어 보고자 한다. 앞서 호주 워킹 홀리데이 약인가 독인가? 2-1부 - 실감하게 되는 현실 에서 나왔던 박군의 케이스는 굉장히 드문 케이스이며, 대부분이 곽양 혹은 호주 워킹 홀리데이 약인가 독인가? 2-2부 - 실감하게 되는 현실 에서 나오는 김군처럼 불행한 사고를 겪어서 대부분 3개월에서 5개월차에는 회의 아닌 회의를 느끼게 된다.
한국이랑 많이 틀릴줄 알았다. 초록 잔디가 가득찬 공원에서 주말마다 노부부가, 어린아이가, 가족들이, 친구들이 어울려서 놀아서, 여유가 한국보다 훨씬 넘출줄 알았다. 전부다 영어밖에 쓰지 않으니까 영어도 팍팍 늘줄 알았다. 최저 임금이 그래도 한국보다 많이 나올줄 알았다. 바다건너 비행기 타고 오면 모르는 사람 없을줄 알았다.
이와 같은 말들을 대부분의 워킹 홀리데이 사람들이 3개월차에서 5개월차에 꺼내게 되는 이야기다. 더군다나 몸이라도 한번 아파 버리면 한국에 있을 가족들 생각이 더욱더 간절하고 그나마 수중에 최소 $50 이라도 없으면 어느 GP 한번 떳떳히 찾아가서 진찰받기도 힘들다. 진찰 받으러 갔는데 주사는 놓아주지도 않지, 그냥 처방전을 적어주고 약을 복용한후 효과 없으면 몇일후에 다시 찾아와 피검사를 받아 보자고 그러지. 수중에 돈은없지, 오늘따라 부모님과 집에서 기르던 애완견이 더욱더 보고싶어지는데, 그러다고 또 친구 만나 소주 몇병에 담배 몇대로 한숨을 푹 쉬고는 집에 돌아갈 날만 손꼽아 세고 있다.
그와 반면에, 하루에 투잡씩 뛰고, 학원 보단 홈스테이 할아버지 할머니랑 같이 앉아 한자라도 더 쓰고 읽고 듣고 말할려고 노력하고, 차곡 차곡 모은돈으로 한국 부모님께 드릴 선물을 조금씩 조금씩 모으면서 여행 계획도 짜고 있는, 비록 Broken English 이지만, 발음이 좋던 나쁘던을 떠나 손짓 발짓 다해가며 펍에 만난 호주 사람과 맥주 한병 들이킬수 있는 그러한 멋진 워킹 홀리데이 분들도 계신다.
전자와 후자를 비교해 본다면, 아마도 그네들에게 발생할수 있는 미래는 다음과 같을지도 모른다.
아마도 귀국 하기 전날까지, 호주는 틀릴줄 알았는데 역시나 사람사는곳은 다 똑같더군 이라는 구차한 핑계를 되며 다시는 호주땅에 오지 않아. 라고 저주를 퍼부으며 비행기에 몸을 싣고, 한국으로 돌아가 호주에 오기전 한국에서의 생활로 돌아가 만성피해주의에 젖어 이 핑계 저 핑계...
그와 반면에...
호주 역시도 사람이 사는 곳이기 때문에, 말못하고 빽없고 돈없고 남보다 뛰어나지 못하면 차별이 존재하는 나라임엔 틀림없지만, 그래도 교육시설, 복지시설, 다양한 문화등에서 오는 장점을 더욱더 누리고자, 새로운 공부, 취직등으로 영주권을 노리는 사람들.
밖에서 새는 바가지 안에서도 샌다고, 절대로 한국에서의 생활이 개차반이었으면, 단지 주위 환경이 호주로 바뀐다고 인해, 자신 스스로가 변해져지지는 않는다. 돌려서 이야기 하자면, 명확한 목적과 시간이 첨가된 계획이라는것을 가지지 않고, 노력하는 도전정신과, 끊기가 없으면 오히려 주위에 노력하는 워킹 홀리데이 사람들에게 나쁜 타이틀만 결과적으로 부과하는 민폐를 끼치게 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지? 라는 해결 방법에 대한 질문을 다음화에서 구체적으로 다루어 보도록 하겠다.
'변호사 이야기 > -- 워킹 홀리데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주 워킹 홀리데이] -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0) | 2009.05.17 |
---|---|
호주 워킹 홀리데이 약인가 독인가? 4부 - 해결방법은? (27) | 2009.04.20 |
호주 워킹 홀리데이 약인가 독인가? - 중간 점검 2. 안전사고 (6) | 2009.04.05 |
호주 워킹 홀리데이 약인가 독인가? - 중간 점검 (8) | 2009.04.03 |
호주 워킹 홀리데이 약인가 독인가? 2-4부 - 실감하게 되는 현실 (2) | 2009.04.02 |